본 연구는 중도시각장애인의 음악 활용을 파악하고,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6개의 시각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만 40세 이상 60세 이하 성인 중도시각장애인 70명을 모집하였다. 음악 활용, 음악 활용 목적, 개인변인 등 총 25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한 후 회수된 설문지 중 불충분한 응답 9부를 제외한 총 61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시각장애인은 주로 휴식을 취하고 싶을 때, 집에서 라디오를 주로 사용하여, 빠르고 경쾌한 대중가요를 감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래활동에서 이들은 추억을 회상하는 가사의 대중가요를 주로 부르고, 노래 활용 빈도가 음악감상이나 악기연주 활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악기 연주하기에서 연주가능하고 선호하는 악기는 모두 현악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음악 활용 목적은 기분전환, 즐거움, 편안함, 성취감, 소속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도시각장애인의 개인변인(성별, 장애정도, 실명기간)에 따른 음악 활용에는 전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전맹이 저시력에 비해 음악을 통해 소속감을 느끼는 정도가 높고, 실명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집단이 음악을 활용하여 소속감을 얻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도시각장애인의 음악 활용을 파악함으로써, 대상의 요구와 필요에 맞는 효과적인 음악치료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eople who became blind midway through life used music and how these uses differed according to individual factors. Sixty-one late-blind adults aged 40 to 60 years attending six welfare centers for the blin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25-question survey in Braille on music utilization and preference, as well as the purpose of music utilization. The response rate was 87.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listening preference, they reported preferring to listen to upbeat popular music on the radio when resting at home. They liked to sing along to lyrics reminiscent of personal memories. String instruments were preferred when playing an instrument. With regard to the reason for using music, inducing mood change was found to be the biggest reason, followed by seeking enjoyment, comfort, sense of achievement, and sense of belonging. Third, for people with adventitious visual impairments, individual factors, such as gender, level of disability, and period without eyesight, did not reveal any significant differences. Last, participants were found to obtain a higher sense of belonging through music compared to those having low vision. Regarding time without eyesight, it appeared that the shorter the period, the higher the sense of belonging participants had from utilizing music, and vice versa. This study provides fundamental information for organizing an effective music program that can meet the needs and demands of people with adventitious visual impair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