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11년 9월까지 국내 주식시장의 신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공개과정에서 재무보고서의 정보 비대칭이 신규 상장기업의 생존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재무보고서의 정보 비대칭은 이익조정에 따른 Jones(1991), Dechow et al.(1995), Kothari et al.(2005) 모형의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실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장폐지 기업은 생존 기업에 비해 설립일로부터 상장일 까지 소요 기간, 상장 후 생존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았으며 수익성도 낮았다. 정보 비대칭의 수위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업의 장단기 성과도 부진하였다. 둘째, Cox의 비례위험 모형(1972)을 통한 생존분석에서는 설립일로부터 상장일 까지 소요기간이 길고, 기업규모가 크면 상장폐지 확률은 감소하였다. 또한 핫 마켓에 신규 상장된 기업과 정보 비대칭의 수위가 높은 기업은 상장폐지 확률이 높았다. 셋째, 기업공개 이후 주가의 장단기 성과를 통제하였을 때 단기성과는 상장폐지와 유의적인 관계를 갖고 있지 않으나 60개월 간의 장기성과는 유의적인 음(-)의 관계를 갖고 있었다.We test for the association between information asymmetry for financial reports and delisting of IPO firms in Korea stock market over the period 2000 to 2011 by using discretional accrual measures as proxy for information asymmetry. By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ether low survival probability after going public is associated with higher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IPO proc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listed firms are more short-lived after going public and less profitable than survival firms. Second, survival probability after going public i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age and firm size. Firms that list in hot market and have larger information asymmetry in IPO process are more likely to delist. Third, survival probability of IPO firms isn’t significantly related to short run performance but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long run performance. Specifically, firms that have relatively better long-run performance have higher survival probability and lower hazard ratio as compared to firms that have worse long-run performance.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