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영재교육 진흥법이 제정된 이래, 지난 15년 이상 동안 한국의 영재교육은 양적으로 급속한 성장을 지속해 왔다. 영재학급이나 영재교육원이 증가하는가 하면, 영재교육 지도교사의 연수나 교육 참여 활동도 늘어났다. 그렇지만, 2014년 이후 영재교육은 다소 위축되는 양상이다. 한국 사회의 사교육 논쟁과 무상복지 확대로 인하여 영재교육에 대한 행 재정적 지원이 축소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역대 정부에서 추진한 영재교육 정책을 개관함으로써, 정부의 정치적 노선과 영재교육 지원 노력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최근 한국사회에서 영재교육이 위축되고 있는 현상을 중앙 및 지방정부의 영재교육에 대한 행 재정적 지원의 약화로 인한 양적 성장의 저하, 사교육 억제와 관련한 규제, 영재교육 접근 기회의 사회적 불평등성, 영재교육 학문공동체의 연대성 미흡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영재교육 현상 분석을 토대로, 향후 한국의 영재교육이 지향해야 할 이념적, 실천적 측면의 몇 가지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념적 차원에서는 영재 혹은 영재성의 개념, 지능의 개념, 영재교육의 정당성에 대한 인식 등 영재교육에 대한 우리 사회의 편협적, 고착적인 관점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점을 역설하였다. 한편, 실천적 차원에서는 영재교육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실증자료의 수집, 영재교육 법령의 개정, 영재 판별과 함께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최적화, 영재교육 서비스 체제의 다원화, 영재교육과 관련하여 새로운 연구 주제의 적극 발굴 등을 제안하였다. Since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Promotion Law was enacted 15 years ago, in Korea, gifted education in Korea has continued rapid and quantitative growth. The number of gifted classes or institutes for the gifted have increased, as well as the number of gifted education teachers increasing their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and educational activities. However after 2014, gifted education is somewhat shrinking. Due to the controversy of private education and expansion of social welfare in Korea,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gifted education is being reduced. This study reviewed the gifted education policies promoted by successive government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support for gifted education efforts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the phenomenon of the recently shrinking gifted education in Korean society was analyzed in various aspects. These aspects include: decreasing quantitative growth due to the weakening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rom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on gifted education, regulations on suppressing private education, social inequality to gifted education access, and lack of solidarity in the gifted education scholastic community. Based on this analysis of gifted phenomenon, ways of developing the ideolog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future-oriented gifted education were suggested. In the ideological dimension, it was emphasized that gifted education must move away from insularity and the adhesive perspective of Korean society on the concept of giftedness, the concept of intelligence and the recognition of the legitimacy of gifted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practical dimension, the following points were identified: the collection of empirical data on the economic impact of gifted education, gifted education amendment of the statutes, adaptation of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with gifted identification, diversification of gifted education service system, and actively promoting new research topics in relation to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