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초·중·고등학생 기후위기 행동의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학생의 기후위기 행동에 기후위기 위험인식과 생태시민성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173명이 응답하였다. 응답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그리고 학교급을 구분한 다집단모형 분석을 적용하였다. 그 연구결과, 첫째, 학생의 기후변화 위험인식과 생태시민성이 기후변화 지식, 교육수준과 기후변화 태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둘째, 기후변화 지식과 교육수준은 기후변화 위험인식과 생태시민성에 영향을 미치고, 기후변화 위험인식과 생태시민성은 기후변화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생태시민성은 특정 교과 혹은 창의적체험활동과 같은 일부 교육과정을 통해서 길러지는 것이 아니라 전체 교육과정을 통해서 길러지는 것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후위기 시대의 교육이 생태시민성을 기르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limate crisis behavior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Specifically, it explores the mediating effects of climate crisis risk perception and ecological citizenship on students climate crisis behavior. To this end, a survey with a total of 1,173 respondents was conducted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Based on the respons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ulti-group model analysis were appli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tudents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risk and ecological citizenship were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knowledge, level of education, and climate change attitude. Second, climate change knowledge and level of education had an effect on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and ecological citizenship, while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and ecological citize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climate change attitude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ecological citizenship was not cultivated through a specific curriculum or through such things a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but through the whole curriculum. This study shows that education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should be transformed.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