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도의 삼림식생은 곰솔군락, 소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물박달나무군락의 10개 이차림과 리기다소나무식재림, 아까시나무식재림, 밤나무식재림 등 3개 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상대기여도(R-NCD)에 의한 계층별 우점종은 아교목층에서 상수리나무, 소나무, 굴피나무, 팥배나무, 갈참나무, 관목층에서 진달래, 굴피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초본층에서 그늘사초, 산거울, 진달래, 억새, 주름조개풀 등으로 대부분 건조한 환경에 주로 출현하는 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락의 층상구조 발달은 빈약하였다. 흉고직경 분포는 각 군락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2∼10 ㎝ 범위의 소경목이 전체의 56%를 차지하였으며 인위적 교란 후 재생과정 중에 있는 식생으로 수령은 40년 이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군락별 토양환경의 pH는 전체평균값이 4.73(4.53∼5.10)으로 나타났으며, 유기물함량은 산지대에 분포하는 신갈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식재림, 밤나무식재림이 산지 능선부나 해안가, 저지의 구릉지에 주로 분포하는 곰솔군락, 소나무군락에 비하여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물함량과 총질소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The vegetation in this study area was divided into 10 plant communities: Pinus thunbergii, P. densiflora, Quercus acutissima, Q. mongolica, Q. serratea, Q. variabilis, Q. aliena, Q. dentata, Carpinus coreana, Betula davurica and 3 afforestations; Pinus rigida, Robinia pseudo-acacia, Castanea crenata. The dominant species in each stratum as determined by R-NCD appeared to be Q. acutissima, P. densiflora, Platycarya strobilacea, Sorbus alnifolia and Q. aliena in the tree-2 layer, Rhododendron mucronulatum, P. strobilacea, Q. serrata, Q. aliena and Q. acutissima in the shrub layer, and Carex lanceolata, C. humilis, R. mucronulatum, Misch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 in the herb layer. The distribution of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56%) in the range of 2∼10㎝ in the study area and it was investigated as being in the restoration phase after disturbance. The average of the age of trees was under 40-years-od. The pH of soil collected at each site appeared to be within the range between 4.53 and 5.10(the average of 4.73) in each community, organic matters appeared higher than the value in Q. mongolica, P. rigida, C. crenata communities compared to P. thunbergii, P. densiflora communities. And soil organic matters and total nitrogen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ir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