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직 양면성(organizational ambidexterity)의 개념을 공공기관에 적용하여 조직단위로 조직 양면성을 측정하고 기관유형 및 경영평가 결과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조직 양면성을 다룬 선행연구에서는 조직의 혁신, 문화, 리더십 등의 측면에서 양면성의 개념을 정의하고 선행변수를 도출하고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 져왔으며 연구대상은 대부분 민간기업으로 한정되어 있다. 두 가지 성격의 서로 다른 활동, 즉 단기적 성과와 효율을 강조하는 활동과 장기적 투자와 탐색활동을 통한 혁신, 개발을 강조하는 활동을 동시에 한 조직에서 추구해 나가는 특성은 빠른 환경변화에 대처하고 장기간 기업의 수명을 이어나가면서 지속가능성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적인 요건으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공공기관 역시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 필요한 상황이므로 양면성을 어떤 방식으로 반영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의 배경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공공기관의 양면성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공공기관의 기관유형, 즉 시장형 공기업, 준시장형 공기업, 위탁관리형 준정부조직, 기금관리형 준정부조직, 기타공공기 관에 따라 조직 양면성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경영평가 대상인 공기업, 준정부기관의 양면성 정도는 경영평가 결과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토대로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이론적으로 조직양면성의 개념을 검토하였으며 조직양면성의 개념을 공공기관에 적용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국내 공공기관의 조직양면성을 측정하는 도구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측정항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국내 공공기관 14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기관유형별로, 경영평가 결과별로 조직양면성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관유형별로는 시장형 공기업과 기금관리형 준정부조직의 양면성이 높게 나타났고, 경영평가 결과는 높은 점수를 받은 집단의 양면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measure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of public organizations by organizational unit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with a type of organization and result of management evaluation. In previous researches dealing with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researchers defined the concept in term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culture, and leadership. They analyzed the effect of ambidexter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limited research subjects to private companies. Ambidex-terity means an organization’s ability to conduct activities that emphasize short-term performance and efficiency and activities that emphasize innovation and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and within the same organization. This character has emerged as an indispensable requirement to enable sustainability by coping with rapid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continuing the lifespan of a long-term company. Public institutions also need to make strategic choices to cope with changing environ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reflect ambidexterity to the public organization. Based on the above backgroun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egree of ambidextrous culture of public organization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according to the type of public organization? Third, how relevant is the degree of ambidexterity of public organizations to management evaluation results? Based on these research questions, research hypotheses were derived. Theoretically, we examined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and selected a tool to measure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in Korean public organization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pplying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to public organization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selected item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42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depending on organizational type. The market-type public organization and the fund-managed quasi-government organization were high in ambidexterity, and the management evaluation result showed that the high score group had a high degree of ambidexterity. Based on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