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최근 Z세대가 패션 산업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소비문화를 주도하는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Z세대는 이전 세대와 비교했을 때 자신의 독특함이나 개성을 보여주는 소비를 추구한다. 본 연구는 Z세대를 패션 제 품 소비의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들의 전반적인 의복 소비 행동을 조사하고 Z세대 의 독특성 욕구와 유행 선도력이 패션 제품의 상징적 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연령별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는 1995~2005년 사이에 출생한 Z세대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 였고 기술 통계, 빈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Z세대의 독특성 욕구 중 독창적 선택 이 내재적 소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 선도력의 경우 Z세대의 내재적, 외재적 소비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유행 선도력은 의견을 선도하며 타인에게 조언이나 정보 전달과 같 이 본인이 구전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새로운 스타일이라는 가시적 단서를 패션으로 표출하며 유행을 주도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에 자기애적 성향이 강하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타인 과의 상호작용에 익숙한 Z세대의 소비 성향에 더욱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Z세대 성인과 청소년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Z세대 성인의 독특성 욕구는 내재적 소비에만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나 패션 제품의 선택이나 소비 행동을 통해 자기 이미지 전달이나 자기 계발, 자신감 획득과 같은 자아 표현을 실현하는 측면이 확인되었다. 한편, 유행 선도력은 Z세대 성인과 청소년의 상징적 소비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패션 제품은 Z세대에게 자아 표현과 동시에 주변인 사이에서 유행 선도 력을 확인하는 중요한 도구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Z세대의 독특성 욕구와 유행 선도력을 측정하고 집단 의 표면적인 소비 행동 이면에 존재하는 상징적 소비의 개념을 구체화한다는 의의가 있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