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봉황문(鳳凰紋) 청화백자를 중심으로 궁중 공예품의 문양과 화본(畫本)의 관계를 ë°ížˆê³ ì¡°ì„ í›„ê¸° 분원(分院)의 새로운 청화백자 ì œìž‘ 특징을 ê·œëª í•˜ëŠ” 데 ëª©ì ì´ 있다. ì¡°ì„ ì‹œëŒ€ 봉황의 도상(圖像)은 ëª (明)으로부터 화본으로 ì „í•´ì¡Œë‹¤. ì¡°ì„ ì™•ì‹¤ì€ 화본을 통해 봉황문의 양식을 ê·œì œí•˜ëŠ” 한편 이를 ì§€ì†ì ìœ¼ë¡œ 계승하였다.1752ë „ 관요(官窯)가 분원리에 ê³ ì •(固定)ë˜ê³ 1754ë „ 이후 분원에 화원(畫員)이 파견된 사실을 í™•ì¸í• ìˆ˜ 없으나 청화백자의 생산량은 ì ì°¨ ì¦ê°€í•˜ì˜€ê³ í™”ì›ì´ ê·¸ë ¸ìŒì§í•œ 다양한 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화원을 대체한 화장(ç•«åŒ )이 화본을 활용하여 청화백자의 문양을 시문하였을 것으로 ì¶”ì •ëœë‹¤. 특히 청화백자 ì œìž‘ì— 활용되었던 어화본(御畫本)의 기록은 이러한 ì¶”ë¡ ì„ ì¦ëª í•˜ëŠ” 근거가 된다. 화본은 사옹원(司饔院) 분원과 타 관아의 관원, ê·¸ë¦¬ê³ ìž¥ì¸ 사이에 í˜‘ì— ì„ 가능케 한 배경으로 작용하였다.ì¡°ì„ í›„ê¸° ìƒê³µì— ì´ 발달하면서 민간의 청화백자 수요는 ê¸‰ì¦í•˜ì˜€ê³ ì´ëŠ” 1753ë „ 『시폐(市弊)』와 『공폐(貢弊)』의 기록과 사번(私燔)의 성행을 통해서도 ì§ìž‘í• ìˆ˜ 있다. 화본은 ì¡°ì„ ì™•ì‹¤ê³¼ 사대부가 í–¥ìœ í•˜ë˜ 문양을 대중화(大衆化)ì‹œí‚¤ê³ ê³µì˜ˆí’ˆì˜ 규격화(è¦æ ¼åŒ–)와 ì •í˜•í™”(定形化)를 이끌어 내었다. 이와 ê´€ë ¨í•˜ì—¬ 봉황문 청화백자는 화본이 ì¡°ì„ í›„ê¸° 분원의 청화백자 ì œìž‘ì— 영향을 미쳤음을 ì¦ëª í• ìˆ˜ 있는 사례로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색인어: 봉황문(鳳凰紋), 화본(畫本), 지견양(紙見樣), 수본(繡本), 의궤(儀軌), êµ­ë³´ 263호(國寶 263號), 시폐(市弊), 공폐(貢弊), 분원(分院) Keywords: Phoenix Design, Hwabon: Illustrated Manual for Design, Jigyeonyang: Illustrated Manual for Design, Subon: Illustrated Manual for for Embroidery, Uigwe: Records of Royal Ceremonies, National Treasure No. 263, Sipye: Report of Market Evils, Gongpye: Report of Tribute Evils, Bunwon: Official Court Kiln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