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그간 동양사상을 덕 윤리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이성 중심의 도덕교육론을 서구의 칸트적 전통에서 이해하는 경향이 있어 왔다. 본 논문은 왕충의 도덕교육론을 통해, 합리성과 비판성 등이 동양사상에서도 강조되어 왔음을 주장하였다. 왕충은 자신의 교육론에서 합리성을 강조하였고, 이성적 사변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또한 왕충은 유가 사상에서 주목하고 있는 ‘존덕성’을 외면하지 않았고, 자신의 교육론 안에 이를 포섭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왕충의 도덕교육론을 덕성 함양과 합리성 함양으로 나누어 분석, 종합, 평가하였다.Some modern scholars understand Eastern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virtue ethics, and the rational moral education theory is recognized as a part of Western tradition. This paper advocates that Eastern thought also emphasizes rational speculation. One characteristic of Wangchong s educational theory is the emphasis on rationality. Also, he did not deny the virtue education of Confucianism, but rather embraced it in his theory of moral education. So he put forward the educational theory of the interaction between ‘moral cultivation’ and ‘reasonable cultiva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