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퇴직 후 창의적 직업을 선택한 남성 노인의 직업적응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그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창의적 직업을 희망하는 노인에게 구체적인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퇴직 후 창의적 직업에 종사 중인 만 65세 이상의 남성 노인 총 5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하였다. 이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질적 내용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총 132개의 개념과 25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7개의 범주는 <해방감이 이끄는 도전>, <‘재미’에 대한 욕구의 반영>, <비전공자로서 느끼는 어려움과 한계>, <늘어나는 지출을 감당하기 위한 고민과 노력>, <성취를 향한 기쁨>, <자신의 창의성을 활용하는 방법>, <사회 참여의 확대에서 오는 보람>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나타난 창의적 직업의 적응 경험은 남성 노인의 잠재된 창의성이 발현되는 과정이었다. 이전에 느끼지 못했던 일하는 재미와 즐거움을 경험했고, 일을 수행하며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사회 참여를 확대해 나아가는 일련의 과정은 창의적 노화의 목표와 부합한다. 우리나라에서 노년기 창의적 직업의 선택과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퇴직 전 창의적 직업 관련 교육의 필요성과 사회적 환경의 변화를 고려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과 함께 실천적 노력이 요구된다. 나아가 우리나라 노인의 퇴직 후 새로운 삶을 위한 창의적 직업의 선택이 성공적 노화를 위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is study examines the vocational adjustment experiences of elderly men who chose a creative occupation after retirement. The aims are to understand the related meanings and to provide specific empirical data on the elderly who hope to start a creative occupation. Five men aged 65 years or older who chose a creative occupation after retirement were enroll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nd a total of 7 categories, 25 subcategories, and 132 concepts were identified. The seven categories were “challenge led by a sense of freedom,” “reflection of the need for ‘fun,’”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felt by a non-expert,” “concerns and effort to afford the increasing expenses,” “joy for accomplishment,” “ways to utilize my creativity,” and “reward from increased social participation.” The participants felt that adjusting to a creative occupation was a process by which their potential creativity was expressed. They felt the joy of working that they had not felt before, and the series of processes by which they overcame difficulties during work and increased their social participation were in line with the goals of creative aging. In order to help older adults in Korea to choose and adjust to creative occupations in their older adulthood, there is a need for creative-occupation-related education prior to retirement and for various policies and practical efforts that consider the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Furthermore, our findings suggest that choosing a creative occupation after retirement is an effective measure for promoting successful aging among the elderly in Korea.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