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SNS 사용자의 자기표현 욕구와 SNS 사회적 기능 만족도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 사이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며 선행연구들을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였다. 또한 SNS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SNS사용자의 자기표현 욕구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SNS 사회적 기능 만족도에 의해 부분 매개 되고 있다. 즉, SNS 사용자의 자기 표현 욕구가 강할수록 SNS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려는 의도가 강하며 이는 SNS를 통한 네트워킹 형성과 동질감 형성이라는 기능에 대한 만족감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SNS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만족도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에 의해 조절될 것이라는 가설에서는 네트워킹 기능에 대한 만족도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 관계에서는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조절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동질감 형성과 지속적 이용의도 사이에서는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개인들의 SNS 활동을 통한 자기표현의 욕구의 표출은 유저들 간의 동질감 형성, 네트워킹형성이라는 사회적 기능에 대한 만족도를 매개로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유저들이 SNS의 사회적 기능에 대해 만족도가 높더라도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가 크다면 이는 지속적 이용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네트워킹 기능에 대한 만족도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이러한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SNS의 네트워킹 기능 자체가 나의 개인적인 정보를 내가 의도 하지 않은 불특정 다수에게 까지 퍼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감을 갖게 만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 해석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적은 동질감 형성 기능 만족도와 지속적 사용의도 에서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유저들을 위하여 SNS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감을 없애는 방안을 유저들의 SNS의 지속적인 이용을 위한 방안 도출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SNS를 활용한 기업의 다양한 마케팅전략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위한 전략으로서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In this study, we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needs for self-expression of SNS users, their of satisfaction with the social function of SNS and continued use intention emphasizing the mediating role of privacy concern.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es are driven through studying previous research an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cane from the survey of SNS users. The analysis of the data shows that: first, the stronger SNS users needs for self-expression, the higher their intention of continued use and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the satisfaction with the social functions of SNS ( ie, affectional identity among users, and networking). Second, the positive effect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social function of the SNS on the degree of continued use intention is adjusted by the privacy concerns. More specif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users satisfaction with the networking function of SNS on their intention of continued use is moderated by the privacy concer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y satisfying the user s needs for self expression through SNS activitie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continued use by mediation of the social function of SNS including formation of a sense of identity among users and networking. However, even if the users are satisfied with the social function of the SNS, it can be understood that if there is a great concern about privacy invasion, there can be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ed use. Especially, privacy concern is doing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withi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of the networking function and continued use intention. This means that the enjoying the networking function of SNS itself would be the attractive point of SNS but at the same time, the users are worrying about spreading their personal information to the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ivacy concern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ing identity function and the continues use intention is not significant. It is suggested that eliminating the factors that can arouse privacy concern is the way for users to use and enjoy the SNS sustainabl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