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 환자 돌봄 가족들의 돌봄 스트레스가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돌봄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 대처방식, 돌봄 죄책감, 우울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처방식과 돌봄 죄책감의 다중병렬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치매 환자 돌봄 가족 204명이 돌봄 스트레스, 우울감, 대처방식, 돌봄 죄책감에 대한 온라인 설문에 참여했고 이 중에서 중복참여와 미완성 설문지를 제외하고 123명의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Hayes (2018) PROCESS macro의 다중병렬 매개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돌봄 스트레스는 우울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돌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감, 대처방식 중 정서중심 대처와 소망적 사고, 그리고 돌봄 죄책감의 수준이 높아졌다. 대처방식과 돌봄 죄책감의 다중병렬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돌봄 죄책감만이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치매 돌봄 가족의 우울감 예방을 위해서 돌봄 죄책감의 관리가 필요하며 대처방식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