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유아의 책 읽기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인 생각은 그들의 언어 및 인지 발달뿐 아니라 정서와 사회성 발달 등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당 내용은 단순히 일반 유아뿐 아니라 장애유아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며 선행연구들이 장애유아들도 그림책을 통해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배운다고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책 읽기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을 조사하여 향후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 한국과 중국 유아들의 책 읽기와 과련 된 변인 간의 비교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첫 연구로 중국 항저우시의 3~5세 유아 188명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유아의 동화책 이해 능력 및 책 읽기 몰입 정도, 개별 가정의 독서 환경 수준 등을 파악하고 개별 변인들 간의 관계가 분석 되었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른 유아의 동화책 이해 능력과 책 읽기 몰입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관련 변인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제시되었고 여자 유아가 남자 유아에 비해 동화책 이해 능력과 책 읽기 몰입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셋째, 유아의 동화책 이해 능력, 책 읽기 몰입, 가정 내 독서 환경 간의 정적상관이 보고되었다. 넷째, 회귀분석 결과, 책 읽기 몰입의 집중력과 흥미는 동화책 이해 능력 총 변화량의 52.9%를 차지하였고 유아의 동화책 이해 능력 총 변화량 중 38%는 가정 독서 환경 내 책 읽기 자원과 부모-자녀 간 책 읽기 전략에 의해 설명되었다. 또한, 가정의 독서 환경은 매개변인 책 읽기 몰입을 통해 유아의 동화책 읽기 이해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제시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 향후 장애유아의 책읽기와 관련된 동일 변인들에 대한 연구 및 한국과의 비교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제시되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ortance of young children 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not only for the young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but also those with atypical development based on cross cultural studies. In initial stage, a study was conducted at Hangzhou in China, 188 kindergarten children(aged between 3 to 5) and their parents were participated. Th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reading engagement of the young children and home reading environment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reading engagement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young children s age and gender; girls reported higher level of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reading engagement when it compare to those of boys; the level of home reading environment of 5 years old childre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3 years old children. a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ed between young children 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reading engagement and home reading environment: concentration and interest in reading engagement can explain 53% of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while home reading resources and parent-child reading strategy in the home reading environment explain 38% of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wo suggestions were given as follows: there must be a future study for young children with atypical development and a cross cultural study with Korean young children must be conduct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