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휴대전화의존도, 학교적응의 시간에 흐름에 따른 발달양상 및 종단적인 영향 관계를 탐색하고 주요 핵심 세 변인 간의 종합적인 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이 초등학교 5학년이 되는 시점인 2차(2011년)부터 중학교 2학년이 되는 시점인 5차(2014년)까지 매년 1회씩 4년간 조사된 총 2,378명의 동일종단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휴대전화 의존도,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변인별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발달궤적 및 개인차가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 초기치에는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초기치와 휴대전화 의존도 초기치가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적응 변화율에는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변화율과 휴대전화의존도 초기치와 변화율이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휴대전화의존도 초기치에는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초기치가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휴대전화의존도 변화율에는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변화율이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휴대전화 의존도는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종단적인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휴대전화 의존도 초기치는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초기치와 학교적응 초기치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휴대전화 의존도 초기치는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초기치와 학교적응 변화율 사이를 완전매개하였다. 또한, 휴대전화 의존도 변화율은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변화율과 학교적응 변화율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의 지속적인 학교적응을 위해서는 학교현장과 사회적 차원에서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휴대전화의존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