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마한 엘리트들의 위세품인 카넬리안(마노) 구슬의 원거리 교역 네트워크를 추정하고 운영 배경과 사회정치적 의미를 살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조사 사례가 급증한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석제 구슬 제작 전통을 살펴보고 마한 카넬리안 구슬의 제작 기법과 비교 검토하였다. 마한 카넬리안 구슬의 원산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천공 크기에 대한 계량 분석과 천공 내부를 본뜬 실리콘 샘플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카넬리안 구슬 상당수가 남아시아에서 인도 다이아몬드 천공기술을 사용하여 제작된 후, 마한 사회에 수입되었음을 나타낸다. 잠정적으로, 필자는 중국 남부 합포군의 항구나 도시에서 남아시아의 카넬리안 구슬을 구입하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한다. 또한, 마한의 교역 집단들이 동남아시아 태국의 카오 샘 케오, 베트남의 옥 에오, 캄보디아의 앙코르 보레이 같은 국제 교역 중심지에서 인도산 카넬리안 구슬을 구매하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원거리 해상교역을 통해 수입된, 고가의 사치품이었던 카넬리안 구슬은 위세품으로서 마한의 사회정치적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마한 공동체 사이에서 사회적 신분이나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이었을 뿐만 아니라 엘리트 간 대화 혹은 연대감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와 같은 구슬 교역/교환 네트워크를 토대로, 마한 엘리트들은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었을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여러 정치체들 사이에‘마한’이라는 이념적 동질성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을 것이다.The study is aimed at estimating the distant trading networks of the carnelian bead, one of the prestige goods for Mahan elites, and examining its background and socio-political meaning. A recent research on the tradition of stone bead making in South and Southeast Asia was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e stone bead making techniques identified in Mahan. To clarify the origin of Mahan carnelian beads, I conducted morphometric analysis of the drilling size and SEM analysis for silicon samples inside the drilling.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the carnelian beads were made using Indian diamond drilling technology, and imported from South Asia. I assume that Mahan people purchased the carnelian beads at the port city of the Hepu Commendary, southern China. Also, it cannot be ruled out the possibility that Mahan’s trade groups purchased Indian carnelian beads at trade centers in Southeast Asia, such as Khao sam Kaeo in Thailand, Oc Eo in Vietnam, and Ankor Borei in Cambodia. Carnelian bead, an expensive luxury item imported through long-distance maritime trade, would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ocio-political development as a prestige good in Mahan society.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as not only a symbol of social status or identity among the Mahan communities, but also a means of communication or solidarity among the elites. Given the geographical feature that is divided into the coast vs. inland areas and the eastern vs. western regions, the Mahan polities would have had to have complementary economic exchanges with surrounding groups to resolve resource imbalances. Thus, the Mahan elites would have built a strategic partnership based on the bead trade/exchange networks, which consequentially would have been the basis for the homogeneous ideology of ‘Maha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