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보건소의 통합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노인과 중장년 여성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함이었다.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이 연구에서는 보다 세분화 된 즉, 건강증진사업의 운영을 시설적 측면, 행정(운영)적 측면, 인력 측면, 프로그램 측면으로 구분하여 각 요인들이 건강증진사업 효과(신체적, 정신적, 대인관계적, 일상생활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건강증진사업의 효과가 삶의 질(신체적 활동 향상, 자기효능감상승, 자아존중감 상승, 전반적 삶의 질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통합건강증진사업을 실시함에 따라서 운영의 주체가 보건소와 민간기관으로 이원화되어 있기 때문에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에서 운영하는 건강증진프로그램이 삶의 질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이 연구에서는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농촌지역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발전에 학문적 및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민간기관 이용자보다 보건소 프로그램 이용자들이 자아존중감, 신체적 활력, 삶의 질 만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public health centers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and middle-aged women in Jeungpyeong-gun in Korea. Unlike the existing studies, this study classified the operational aspect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into the four factors (facility, administration/operation, manpower and program), and analyzed how each of these factors influenced the outcome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on the quality of life and compared them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The eventual goal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which would be needed fo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rural areas.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