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성장지향적 관점에서 배우자와 사별한 노인의 사별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 성별에 따른 사별 후 성장의 실태와 영향요인의 차이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배우자와 사별한 남녀 노인 308명을 대상으로 사별 후 성장, 사별 전 결혼만족도, 성역할정체감(남성성, 여성성), 건강상태(주관적 건강, 우울), 사회참여, 사회적 지지 및 인구 사회학적 변수들을 조사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별 후 성장에서의 유의미한 남녀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우울은 성별에 관계없이 사별 후 성장의 일부 하위영역에서 사별 후 성장과 관계가 없거나 사별 후 성장을 정적으로 예측하고 있었다. 셋째, 성역할 정체감 가운데 여성성은 남녀 모두에게 사별 후 성장을 예측하는 중요한 영향요인이었으며, 남성성은 여성에게만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사회참여는 특히 남성에게 의미 있는 영향요인이었다. 다섯째, 사회적 지지는 남녀 모두에게 가장 강력한 사별 후 성장의 강화요인인 것으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사별 전 결혼만족도는 사별 후 성장의 하위영역에 따라 비일관적인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년기 배우자 사별적응의 새로운 차원으로서의 사별 후 성장의 영향요인에 대한 논의 및 배우자 사별 후 성장수준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ing factors of post bereavement growth(PBG) among widows/widowers in later life, in terms of growth oriented perspective,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actual conditions of PBG and the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08 widows/widowers(aged +60) with questions on PBG, marital satisfaction, gender role identity(masculinity, femininity), health status(subjective health, depression), social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was found in PBG. Second, depression positively predicted PBG or had no correlationship with PBG, regardless of gender. Third, femininity was an important predictor of PBG for men and women, and masculinity was found to be effective on only women’s PBG. Fourth, social particip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especially for men. Fifth, social support was suggested to be the strongest factor for PBG for both men and women. Finally, marital satisfaction had inconsistent effect on PBG.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strategies of intervention for PBG in later life were discuss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