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에서는 Bi-Factor 다차원 문항반응모형을 공통문항 비동등집단 설계에서 수집되었다고 가정한 혼합형 검사 자료에 적용하여 관찰점수 동등화를 진행하고, 그 결과가 공통문항의 구성 조건 및 문항 유형 요인의 상관 정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많이 사용되었던 2모수 일차원 문항반응모형을 비교 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문항 유형 간 상관이 제일 낮은 조건인 0.5와 중간 조건인 0.7인 경우에서는 공통문항의 비율 및 구성 방식에 상관없이 모든 조건에서 Bi-Factor MIRT 모형의 동등화 오차가 일차원 모형보다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문항 유형 간 상관이 0.9인 경우에서는 2모수 일차원 문항반응모형의 동등화 오차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문항의 구성에 따라서는 전체 검사의 선택형 문항과 서답형 문항의 비율과 유사하게 공통문항이 구성되었을 때 동등화 오차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검사 문항에 대한 공통문항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동등화 오차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