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최근 공공조직 내부의 혁신과 공무원들의 창의적 행동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공공조직은 특성상 외부환경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조직 내 위계적, 집단주의적 문화가 강하기 때문에 개인 차원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제시하거나 행동을 취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급변하는 행정환경 속에서 공무원들의 창의적 행동은 효율적인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는 공무원들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보다 창의적 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한 전략들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하나의 자본으로서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문화적 요소로서 혁신지향문화가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책임운영기관 에서 일하고 있는 공무원 1,064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별, 나이 직위에 따라 공공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 낙관주의는 창의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회복탄력성은 창의적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혁신지향 조직문화는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낙관주의가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무원들의 창의적 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해 인적자원개발 및 관리 차원에서 개인의 심리자본을 관리하고 조직의 문화적 요소를 함께 고려해야함을 제시하였다.Despite much emphasis on the innovation within public organizations, Korean public officials tend not to get motivated to behave creatively and innovatively. Consider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the key to motivate public officials, this paper examines its relationship with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creative behavior of the Korean public sector employees. The results show that the subcomponen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mpact on creative behaviors in part and the infulence is moderated according by innovation-oriented culture. This study provides a research implication that comprehensive access to both the psychological factors in an individual level and the cultural factors in an organizational level are needed in order to improve systematic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public organizations in Korea where Confucian values are deeply embedd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