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겸손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 중 하나로 강조되어 왔다. 동서양 철학에서부터 사회과학, 종교에 이르기까지 정의나 접근방법은 다소 다를지라도 겸손의 가치는 높이 부여되어 왔다. 최근 서양에서는 겸손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고찰하여 겸손의 구성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직 및 리더십 연구에서 겸손이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는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 리더의 비윤리적인 행위로 인한 부정적 효과가 확인되면서, 윤리적 측면에서의 리더 겸손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으며, 리더가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겸손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겸손이 인간으로서 갖추어야할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강조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겸손에 대한 논의는 교양서적, 윤리서적 등에서 논의되는 수준이며, 조직에서 겸손이 가지는 역할에 대한 논의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서양에서 정립된 구성개념인 겸손의 이론적 논거를 바탕으로 리더의 겸손이 부하의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리더 겸손과 발언행동의 관계에서 부하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리더 발언요청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리더 겸손의 영향력 발휘과정을 확인하였다. 81명의 리더와 251명의 부하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다층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리더의 겸손은 부하 발언행동에 대하여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 겸손은 부하의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하의 자기효능감은 부하의 발언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함으로써 부하의 자기효능감이 리더 겸손과 부하 발언행동의 관계를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리더 겸손과 부하의 자기효능감의 관계는 리더가 부하에게 행하는 발언요청에 의해서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더가 부하에 대해서 발언요청을 많이 할수록 리더 겸손이 부하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정적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Across history and in all corners of the world, humility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human virtue. Recently, scholars from western countries have conceptualized humility in organizations and examined the role and effect it has on these organizations. Even though it has been emphasized as an important virtue in East Asia, as well, there have not been any studies to this point to explore the role of humility in leadership and organization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eader humility on followers’ voice behaviors. In addition, it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follower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humility and followers’ voice behaviors, along with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der solicitation of vo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humility, follower self-efficacy, and voice behaviors. Gathering samples from 81 leaders and 251 followers from the Korean Army and using multi-level analyses, this study found that leader humility i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ollowers’ voice behaviors and the relationship is mediated through follower self-efficac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leader humility is positively related to follower self-efficacy, which in turn is supposed to enhance followers’ voice behaviors. Moreover, this study found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der solicitation of vo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humility and follower self-efficacy. The positive effects of leader humility on follower self-efficacy were stronger for those whose leaders solicited voice more often than for those whose leaders solicited voice less ofte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leader humilit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organizations, and this may be beneficial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