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수준과 기업지배구조가 실제 횡령액의 규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횡령의 규모는 실제 횡령액을 사용하였고,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수준은 담당인력의 특성으로 측정하였다. 기업지배구조는 경영자에 대한 포괄적인 감시수준을 반영한 기업지배구조지수로 측정하였다. 2006년부터 2011년까지 횡령이 발생한 128개 기업을 표본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첫째, 내부회계관리를 담당하는 인력의 평균경력월수가 횡령의 규모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횡령이 발생하더라도 담당인력의 경력이 많다면, 학습효과로 인한 내부통제가 강화되어 횡령의 규모가 축소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에서는 횡령의 규모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배구조가 건전한 기업에서는 횡령주체가 적발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재무제표를 왜곡하더라도 이후의 내부 감사나 외부 감사에서 횡령이 적발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고, 따라서 횡령주체는 적발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횡령의 규모를 축소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부정 감시체계의 개선을 위한 내부회계관리제도 담당인력에 대한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와 기업의 전반적인 지배구조 개선의 필요성을 더욱 환기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This study investigates an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human resources in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and corporate governance on the embezzlement scale. Corporate governance is measured in using an index, which is comprised of the characteristics of ownership structure and outside directors (independence, expertise,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years of experience of personnel in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scale of embezzlement. Second, corporate governance index has also a negative effect on it.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s that a company that has more experienced personnel in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 and has better corporate governance has a tendency to experience less severe problems of asset embezzlement committed by employers or employees. This paper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the way to reduce asset embezzlement scale. Us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internal control system and corporate governance for reducing asset embezzlement is more need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