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 G구 국공립 어린이집에 통합된 자폐성 장애유아 1명을 대상으로 특별한 관심을 반영한 시각적 지원이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중재는 매일 오후 어린이집의 자유선택 활동 중에 자폐성 장애유아의 관심과 선호도에 맞춘 시각적 시간표, 파워카드, 퍼즐식 그림카드로 구성한 시각적 지원을 실시하였다. 참여행동은 상황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 오전 대그룹시간과 자유선택활동시간, 전이시간에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특별한 관심을 반영한 시각적 지원을 통해 자폐성 장애유아의 주의집중행동과 자발적 행동, 지시따르기와 과제수행행동, 전이행동이 증가되어 일과중 참여행동이 증가되었으며, 중재 종료 후에도 증가된 참여행동은 일반화되었고 유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특별한 관심을 반영한 시각적 지원이 통합된 자폐성 장애유아의 일과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특별한 관심을 반영한 시각적 지원은 자폐성 장애유아의 특성을 고려한 강점 중심의 중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별한 관심을 반영한 시각적 지원은 어린이집의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라는 점과 통합 환경에서 활동 참여를 높이는 것은 자폐성 장애유아의 발달과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using individualized visual supports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engagement for preschool-aged children with autism disorder in inclusive classrooms. A multiple baseline across settings design was used to show that one-on-one visual support instruction for the routine occurring during class increased of engagement behaviors. The Visual Support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y are Visual schedule, Power card, and Puzzle-typed Picture Cards which include the participant’s special interest area(SIA), tailored to the special interest of the participant, to teach behavioral skills. Results suggested that the children’d improved their on-task behaviors, initiating interaction behaviors, following directions skills, completing tasks behaviors, and transition skills in the context of ongoing activities in the inclusive classroom.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across settings following the end of the intervention. These results provided the further support that the individualized visual supports using SIA intervention in preschool routines can improve the engagement of children with Autism Disorder in an inclusive setting.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