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최근 들어 경찰 물리력 사용과 관련하여 지구대 파출소 외근경찰관 휴대무기 체계의 흠결로 인하여 경찰 과잉 물리력 사용 및 현장 대응 능력 저하 가능성을 지적하는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지난 2014년 30대 만취 여성에 대한 경찰 총기 사용 사건, 2015년 파출소장 공기총 피격 사망 사건, 2016년 서울 오패산 경찰관 사제총기 피격 사망 사건에서 발생한 경찰의 물리력 과다 사용 및 현장 대응 능력 부족의 근본 원인으로 현행 외근경찰관 2인 1조 조별 근무 및 권총, 테이저건 등 필수휴대무기 분리 휴대, 경찰봉 선택휴대 정책이 지적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미국 내 절대다수의 경찰관서에서 실제 채택하고 있는 “경찰 물리력 사용 연속체”를 따라 우리나라 역시 외근경찰관 1인이 권총, 테이저건, 호신용 최루액 분사기, 삼단봉 일체를 휴대하는 개선안이 등장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구대 파출소 외근경찰 휴대무기 체계 개선안이 과잉 물리력 사용을 억제하고 현장 대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일선 지구대 파출소 외근경찰관들을 상대로 가상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휴대무기 체계 조합에 따른 대처 방법의 차이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근경찰관 1인이 단독으로 깨진 유리병을 들고 저항하는 피의자를 경찰관이 권총만 휴대한 경우에 비해 경찰관이 권총 및 삼단봉을 휴대한 경우 총기 의존도가 상당 수준 감소하고 피의자에게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해 경력 지원을 요청하고 현장 상황만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소극적 대응 역시 감소하여 보다 강력한 법집행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외근경찰관이 테이저건만 휴대한 경우와 테이저건과 삼단봉을 동시에 휴대한 경우 비교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 지구대 파출소 외근경찰관이 실제 휴대하는 경찰장비의 종류를 다양화함으로써 불필요한 물리력 사용을 억제하고 대상자 및 경찰관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찰 휴대무기 체계 개선 필요성을 계량적으로 증명한다 하겠다. 이 연구는 향후 경찰 물리력 사용과 관련된 정책적 제안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Recently, a paucity of research has continued to suggest that the deficit in the police weapon-carrying system of the Korean Police Agency may contribute to not only officers’ use of excessive force but insufficient response to citizens’ resistance to the police. According to prior research analyses, a series of police use of force incidents involving two deaths of police officers implicat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olice weapon-carrying system where a single police officer carries either a handgun or a taser while he or she selectively carries a baton. As a countermeasure, prior research has suggested that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should adopt the practices of “police use of force continuum” in American policing and implement a policy that requires each police officer to carry a handgun as well as a variety of non-lethal force options including a taser, an Oleoresin Capsicum spray, and a baton. The current study, using hypothetical police-citizen encounter scenarios,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e weapon-carrying proposal with respect to its ability to minimize police use of excessive force and to widen officers’ options when responding to citizens’ resistance. Upon analysis,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police officers, encountering a citizen holding a broken bottle, are less likely to rely on the deadly force option when they carry both a handgun and a baton compared to when they carry only a handgun.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also found that police officers equipped with more force options are less likely to retreat and just wait for backups to arrive. In case of the comparison between officers carrying only a taser and a taser and a baton, the current analysis showed the exactly same patter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at the revision of the current police weapon-carrying system can reduce chances of using excessive police force and maximize the police ability to handle citizen resistance in a safer manner. Finally, the current study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