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기술분석보고서 발간이 주가 동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코스닥은 시장의 정보 비대칭 감소를 목적으로 2018년부터 애널리스트 커버리지가 없는 중·소형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분석보고서 발간사업을 개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2019년까지 코스닥 시장의 비금융업회사를 대상으로 기술분석보고서 발간기업의 다음 연도의 주가 동조성이 미발간기업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주가 동조성이 높을수록 기업 고유정보가 주가에 빨리 잘 반영되어 주가 정보성은 증가하게 된다. 기술분석보고서 발간과 주가 동조성 간 유의한 정(+)의 관계는 기술분석보고서가 정보로서 유용함을 의미하며, 또한 기술분석보고서 발간사업이 정보 소외기업의 정보비대칭 감소에 효과적이었음을 시사한다. 다만, 높은 주가 동조성을 기업의 고유정보보다 시장 측면의 정보가 주가에 많이 반영된다고 초창기 연구는 해석한다. 이와 같은 해석 하에서 기술분석보고서는 기업 고유정보보다 시장 측면의 정보에 치중하여 기업 불투명성개선에 제한적 역할만을 한다고도 해석할 수도 있다. 기술분석보고서는 낙관적 편의가 발생하기 어려워 불투명성으로 해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나, 향후 기술분석보고서 발간사업의 정책적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산업 현황분석이나 발간기업의 과거 실적분석을 넘어 기업 고유 정보를 더 많이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정보 소외기업에 대한 정책적인 정보 제공이 주가 정보성을 제고함으로써 주가 동조성을 높이는 기능을 할 수 있음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