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4년제 K 대학에서 표집 된 18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어떤 교수·학습 과정 특성들이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학생특성(단과대학) 별로 탐색하였다. 학습성과는 학생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간접평가 방식으로 측정되었고, 인지적 학습성과와 정의적 학습성과로 구분되었다. 전체학생 중 남학생은 115명 (60.8%), 여학생은 62명(32.8%), 무응답은 12명(6.3%) 이었다. 학생 특성별로 구분하면 스포츠과학 대학 학생은 84명(44.4%)이었고, 생활체육대학 학생은 105명(55.6%)이었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대학 스포츠과학대학 학생들은 생활체육대학 학생들에 비해 대체적으로 교수·학습 과정과 학습성과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스포츠과학대학 학생들과 생활체육 대학 학생들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차이가 있었다. 스포츠과학대학 학생들의 경우 수업 중 사고력 증진 활동이 인지적/정의적 학습성과( =0.33, 0.29) 모두에 큰 영향을 미쳤다. 스포츠과학대학 학생들의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고력 증진 활동이 수업시간에 많이 활용되 어야 할 것이다. 반면, 생활체육대학 학생들의 경우 수업 중 필기 변인이 인지적/정의적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후속연구로 학습성과를 직접적으로 측정 하여 교수·학습 과정의 효과를 살펴볼 것을 제안한다.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and explored which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affect learning outcomes of K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outcomes were measured by students subjective evaluation of indirect assessment methods,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cognitive and non-cognitive learning outcomes. Of the total students, 115 (60.8%) were male, 62 (32.8%) were female, and 12 (6.3%) were nonrespons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84 students (44.4%) were in sports science college, and 105 students (55.6%) were in life and sports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in the sports science college were more positiv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outcomes in general than students in sports and life college. Seco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learning outcomes across sports science college and sports and life college were different. In the case of students of sports science college, the activities of enhancing their thinking power during the class had a great influence on both cognitive/non-cognitive learning outcomes (β= 0.33, 0.29). On the other hand, the handwriting variables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non-cognitive outcomes of the students in sports and life colleg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should be explored by the learning outcomes measured directly in subsequent studi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