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학습접근성향에 대한 인식기반 설문조사를 통해 온라인교육이 학습자의 학습접근성향(표면적 학습접근, 심층적 학습접근)에 따라 학습성과(학습만족도, 학습효과, 취업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접근성향(심층적 학습접근, 표면적 학습접근)이 온라인교육의 학습성과(학습만족도, 학습효과, 취업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심층적 학습접근성향이 높을수록 온라인교육의 학습성과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표면적 학습접근성향은 온라인교육의 학습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교육은 내재적 학습동기가 강하고 학습과업에 의미를 부여하는 성향이 강한 심층적 학습접근성향의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학습의 도구일 뿐만 아니라 강의의 수준과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오프라인교육과의 적절한 활용도 배분이 이루어진다면 유용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회계분야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회계교육에서의 학습접근성향에 따른 차별적 학습성과를 분석하여 회계교육에 보다 적합한 교육방법 등을 탐색하고, 온라인교육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We identify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online education on learning performance according to learners learning approach tendenc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ffects of learning approach tendency (surface learning approach, deep learning approach) on the learning performance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effect, employment effect) of online education showed that the higher the deep learning approach tendency, the higher the learning performance of onlin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approach learning tendenc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arning performance of online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online education is not only a useful learning tool for deep learning approach tendency learners with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but also it can be useful learning tool too to other learners if they are appropriately allocated to offline education according to lecture level and learner characteristic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