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방식과 청소년 또래 애착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의 매개효과와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청소년패널 2010(KCYPS 2010)에 참여한총 1,957명의 중1 청소년과 보호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방식과 또래 애착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부분매개 효과와 각 변인들사이의 성별 상호작용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또래 애착 하위유형별(즉, 의사소통, 신뢰, 소외)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의사소통과 신뢰 영역에서는 성별의 조절된매개효과가 관찰되었으나 소외에서는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않았다.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방식과 자아탄력성이 의사소통 및 신뢰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남학생보다 여학생 집단에서 더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천적 함의와 향후 연구과제를 논하였다.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inconsistent parenting style and peer attachment(communication, trust, isola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ender. This study used 1,957 cases from the 7th wave data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inconsistent parenting style on adolescents’ peer attachment(communication, trust, isol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ego-resilience. Furthermore, the interaction effects of gender were confirmed examining each relation of variables. Gender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inconsistent parenting style and peer attachment (communication, trust), whereas there wasn’t significant moderating role of gender on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inconsistent parenting style and peer attachment(isolation). The negative influence of inconsistent parenting style and ego-resilience on peer attachment(communication, trust) in females was greater than the one in mal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