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소비트렌드가 변화함에 따라 급성장하고 있는 HMR(가정간편식)에 주목하여 HMR 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와 고객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개념들 간의 관계에서 결혼여부가 조절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HMR의 선택속성은 맛, 가격, 편리성, 건강, 다양성 5개 요인으로 구성하고 지각된 가치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미치며, 결혼여부에 따라 연구개념들 간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전제 하에 가설과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실증분석을위한 자료수집은 HMR의 구매경험이 있는 서울 및 수도권지역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유효표본 392 부에 대해 최종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Ver.25 통계패키지에 의한 빈도분석과 AMOS Ver.24 통계패키지를 이용한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 및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HMR 선택속성 중에서 가격, 편리성, 건강이 지각된 가치에 대해 유의한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에 매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여부의 조절효과 분석은 미혼과 기혼으로 분류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결혼여부가 조절역할을 하는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은 충분히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This study focuses on HMR(Home Meal Replacement), which is rapidly growing as the social consumption trend changes, to find out how the HMR selection attributes affects perceived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how to determine the role of moderation by the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status. The selection attributes of HMR consists of five factors: taste, price, convenience, health, and variety, an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hypotheses and research models was established under the premise that the factor of marital status will play a role of moderation. For the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consumer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who had purchased HMR and experienced ingestion, and 392 copies of the collected effective sampl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mong the five factors of HMR selection attributes, price, convenience, and health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value.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perceived value had a ver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ird,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statu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lassified as unmarried and married. Therefore, the hypothesis presented in this study was verifi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