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장애 적격성 판정을 받은 영아와 부모, 조기개입 시행자를 대상으로 조기개입의 주요 요소에 근거한 조기개입 시행의 일 년간의 성과를 양적인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와 연계하여 조기개입을 시행하고 있는 통합어린이집 2곳, 장애아전문어린이집 2곳, 유아특수학교 1곳의 5개 기관의 장애 영아와 부모, 조기개입 시행자 각 12명 씩 총 36명이 참여하였다. 조기개입 시행 전(2017년 3월)과 일년 간 시행 후(2018년 2월)에 장애 영아와 부모, 조기개입 시행자 별 평가를 시행하고,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 분석한 기술통계에 근거하여 조기개입 성과에 대한 다면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의 발달 측면에서 영아의 전반적 발달과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둘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양육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가족성과지표에 대한 부모와 조기개입 시행자의 평가에서는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셋째, 조기개입 시행자의 실행 역량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평가 결과를 토대로 장애 영아와 부모, 조기개입 시행자 별 조기개입의 주요 요소를 중심으로 하는 조기개입 관련 논의가 진행되었다.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early intervention based on the main factors(family-centered intervention. natural environment, team approach). 12 infants and toddlers who were judged to be disability eligible, 12 their parents, and 12 early intervention practitioners from 5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early intervention implementation by comparing the evaluation tools of infants, parents, and early intervention practitioner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infant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par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econd,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parenting efficac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nd parents and early intervention s evaluation of family performance index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Third, the strengthening of the execution ability of the early intervention practitioner was evaluated to be increased. The directions of early intervention implementation on the main elements of early intervention were further discussed.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