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기관 종사자들의 재난인식, 재난태도를 분석하여 향후 사회서비스제공기관의 재난안전관리 체계 구축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11월 22일에서 12월 22일까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사회서비스기관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총 1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응답 등을 제외한 105부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지에 사용된 내용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9문항, 기관의 특성 10문항, 재난인식에 관한 6문항, 재난태도 1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결과는 첫째,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산분석 결과 연령대, 사회복지분야 근무기간, 외부교육 참여횟수가 재난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재난인식과 외부교육 참여횟수가 재난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각각 정적, 부적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한국의 사회서비스 종사자들의 재난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This study analyzed the disaster awareness and disaster attitude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 employees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for setting up the futur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November 22 and December 22, 2016 from the employees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located in Busan.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It is found that disaster attitud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years of working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the frequency of external training participation.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isaster attitude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disaster awareness but negatively influenced by the frequency of external training participatio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