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최근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연공급에서 탈피하여 직무와 성과중심의 임금체계로 전환하여야 한 다는 주장이 공감대를 얻고 있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연공급은 과거 고도성장기에는 효율적인 제도이었지만, 고령화와 정년 60세 법제화, 저성장, 세계화로 인한 경쟁의 격화 등이 특징인 현재의 환경에서는 기업 경쟁력의 저하와 고용불안의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한다. 본 논문은 근속년수에 따라 임금이 증가하는 연공급에서는 근속년수가 높은 근로자들이 자신의 생산성보다 높은 임금을 받음으로써 고용불안을 초래한다는 주장을 검증하기 위하여 임금제도가 고용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인적자본기업패널」 3차-6차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임금의 연공성은 고용조정 여부와 규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직무급은 고용조정 여부 및 규모와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급과 고용조정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서 개인 성과급은 고용조정 여부와 부(-)의 관계를, 조직 성과급은 고용조정 규모와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팀 성과급은 고용조정 여부와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Seniority-based pay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 Recently, however, many scholars have argued that seniority-based pay may be ineffective in the current environment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downsizing.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wage-tenure relationship, job-based and performance-based pay on the probability and size of downsizing. Here, it is argued that downsizing is affected not only by economic factor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ity and wage, but also by non-economic factors, such as the implicit contract of long-term employment and the relational psychological contract. The results show that while the wage-tenure relationship pay did not affect downsizing, job-based pay increased the probability and the size of downsizing. Individual level performance-based pa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robability of downsizing and organizational level performance-based pa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size of downsizing. By contrast, team level performance-based pa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robability and the size of downsizing.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