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연구목적: 아동보호서비스가 아동학대 재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는가는 상당히 중요한 이슈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특성과 아동학대 재발생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아동학대 재발생의 시간적 발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신고되어 처음 아동학대로 판정된 28,505 사례를 대상으로 아동학대재발생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생명표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동보호서비스 특성과 아동학대 재발생 간의 관계는 다층 비연속 시간 사건사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전체 사례 가운데 10.4%(2,963 사례)에서 학대가 재발생하였으며, 학대 재발생 승산은 신고 이후 첫 1개월 이내에 가장 높았다. 학대 재발생 사례의 절반 이상이 11개월이내에 발생하였다. 아동학대 재발생 승산은 기관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아동보호전문기관이 담당하는 지역의 수와 아동 인구수가 많을수록 학대 재발생 승산이 감소하였다. 학대 피해 아동과 비학대 부모 대상 서비스 제공 기간이 길수록, 비학대 부모에게 사후관리서비스가 제공된 경우, 사례 개입이 진행 중일 때 학대 재발생 승산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학대 피해 아동 대상 심리서비스와 행위자 대상 상담 서비스는 학대 재발생 승산을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아동보호서비스가 아동학대 재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서비스 제공 대상자, 제공 기간, 서비스 유형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제공한 서비스 특성이 아동학대 재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설명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아동보호서비스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Objectives: Little is known about child protection services, although it is a very importantissue for whether they effectively reduce the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Therefore,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characteristics and the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provided by child protection agencies in South Korea. Methods: From 2012 to 2017, a life tabl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atusof the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in 28,505 cases under child protection agencies. The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protection services and the recurrence ofchild maltreatment was examined through multi-level discrete-time event history analysis. Results: Child reabuse occurred in 10.4% (2,963 cases) of the total cases, and the risk of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was the highest within the first month of reporting. Morethan half of the cases of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were conceived within 11 months. The higher the number of areas in charge of child protection and the higher the numberof children, the lower the odds of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The longer the serviceperiod for non-abuse parents, the lower the odds of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In addition,the odds of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decreased if post-care services wereprovided to non-abuse parents. The odds of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was also lowin cases where case intervention was underway. However, psychological services for abusedchildren and counseling services for perpetrators increase the odds of recurrence of childmaltreatment. Conclusions: The impact of child protection services on reoc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has been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ject and duration of service and type ofservic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ystematically explains the impact of servicesprovided by child protection agencies in South Korea on the recurrence of childmaltrea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rovement of child protection serviceswas discuss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