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부양기대와 성인자녀지지가 농촌노인의 재산상속선호형태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전남과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397명 농촌노인을 대상으로 1:1면접에 의한 설문조사를 하였고 재산상속선호형태를 ‘전통형’, ‘평등형’, ‘노후대비형‘과 ’사회환원형‘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노인의 재산상속선호형태는 노후대비형이가장 높았고, 전통형, 평등형, 사회환원형 순이었다. 둘째, 부양기대는 평균 2.35점으로 중위값 2.5점보다 낮았고, 성인자녀지지는 1~5점범위에서 3.31점으로 중위값 3점보다 높았다. 셋째, 농촌노인의 재산상속선호형태별로 사회인구학적 특성, 부양기대, 성인자녀지지의설명력을 살펴본 회귀분석 결과, 노후대비형 회귀모델의 설명력이 30%로 가장 높았는데 부양기대가 낮을수록 노후대비형에 동의하는비율이 높았다. 전통형은 성인자녀지지가, 평등형은 교육수준이, 사회환원형은 성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즉, 노인의재산상속 선호유형별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노인의 재산상속선호형태에대한 인식의 변화 및 각각의 재산상속선호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바탕으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