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해외직접투자와 무역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적용되는 이론의 기반이 국제무역이론 또는 다국적기업 이론인지에 따라 상호 대체적 또는 상호 보완적으로 규명되어져 왔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글로벌 경영환경의 변화는 해외직접투자와 무역의 상관관계에 많은 영향을 미쳐왔고, 그 대표적인 변화가 기업들의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 GVC)의 확대와 부가가치 기준 무역(Trade in Value Added, TiVA) 데이터의 등장이라고 볼 수 있다. 글로벌 가치사슬의 확대는 해외직접투자와 무역을 동시에 증가시켰고, 부가가치 기준 무역 데이터의 등장은 전통적인 총무역(Gross Trade) 데이터를 사용한 기존의 해외직접투자와 무역의 상관관계 연구에 큰 변화를 예상했다. 한국 제조업의 해외직접투자 유출, 총수출 그리고 부가가치 수출 데이터를 사용한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의하면, 첫째, 해외직접투자 유출과 부가가치 수출의 상관관계가 해외직접투자 유출과 총수출의 상관관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위 두 개의 상관관계는 전반기(2000-2005)보다 후반기(2006-2011)에서 그리고 선진국보다 개발도상국 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Th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and trade hav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as substitute or complementary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s: international trade theory or multinational enterprise theory. After 1990s, the changes on global business environment have impacted on the correlation. The important changes are the expansion of global value chain(GVC) and the introduction of trade in value added(TiVA). The expansion of global value chain stimulated FDI and trade simultaneously and the introduction of trade in value added(TiVA) expected to change the existing correlation studies based on the traditional Gross trade data. There are three findings by this study based on korean manufacturing FDI flows, gross exports and exports in value added.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FDI outflows and exports in value added is bigger than the correlation between FDI outflows and gross exports. Second, the above two correlations are more positive at the second time period(2006-2011) compared to the first(2000-2005). Third, the above two correlations are more positive in developing countries compared to those in advanced countri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