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헤이안시대에 나타나는 존경어로 「たまふ」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土佐日記에서는 「たまふ」의 용례는 그다지 발견되지 않고 「たまふ」의 변형인 「たぶ」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원래 「たぶ」는 「たまふ」와 함께 존경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어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최고의 경의를 나타내는 「たまふ」를 삼가고 경의가 낮은 변형형 「たぶ」를 사용함으로써 여성작품의 특징을 살려 폭넓은 사람에게 경어를 사용하지 않았나 추측할 수 있었다. 또한 『土佐日記』의 경어가 음편형으로 변한 경우는 「たうぶ」와 「たいまつる」가 있었고, 「たうぶ」는 「たぶ」로서, 「ウ」음이 삽입된 것은 드문 일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음편형이 경어와 접속되어 「よんたび」처럼 나타나며 하나의 단어처럼 느끼게 한다든지 음편형이 회화체보다 지문에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었다는 것도 이 작품의 특징으로 볼 수 있지 않나 생각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