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경도 발달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과 진로탄력성의 수준을 살펴보고 이를 인구사회학적변인(성별, 장애유형, 소속 학교, 학년)별로, 기능수준변인(사회성 정도, 기초학력 수준, 의사소통 능력 수준, 신체기능 정도, 일상생활수행 정도, 문제행동 수준)별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경도 발달장애학생이 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기결정력과 진로탄력성 척도문항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P지역 및 K지역 경도 발달장애학생 총 124명의 응답데이터에 대하여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배치분산분석, Pearson 적률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도 발달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과 진로탄력성 수준은 모두 보통이었으며, 기능수준변인 수준에 따라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상관관계분석 결과, 자기결정력과 진로탄력성은 높은 수준의 상관을 보였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도 발달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과 진로탄력성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진로직업교육과 연계될 수 있는 방안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