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교종 프란치스코는 즉위 직후부터 전 세계인들에게서 새롭고 진정성 있는 종교 지도자로 인식되었다. 특히 2014년 8월 한국 방문 시에도 성령의 새로운 바람을 실감할 수 있을 정도로 깊은 영감과 인상을 남겼다. 교종 프란치스코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정신” 아래 양성을 받았고 남미의 정치사회적 억압 속에서 ‘복음’과 ‘영신수련’에 근거한 “진정성 있는 리더십(권위)”을 실천하며 아울러 “삶의 주변부”로 나아가 교회가 예언직을 수행하고 “야전병원”의 역할을 할 것을 강조해 왔다. 그중에서도 특히 제도 교회의 영역을 넘어 보편 인류를 지향하는 “하느님의 백성”과 함께 정진하는 “공동합의성”(synodality)을 사목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 왔다. 그 정신을 성령께서 활동하시는 시대의 표징으로 해석하자면, 교회의 지도자에게는 하느님 자비와 사랑을 체험하고 하느님 백성을 돌보고 위로하는 영적 책임과 의무에 충실해야 하는 “사목적 책무성”이 있음으로 집약된다. 한국천주교회는 보유론의 특성에서 시작하였지만 전통 유교사회에서 “천주 앞에서 만인이 평등하고 존귀하다”는 복음의 기쁨을 혁명적으로 증거하여 왔다. 하지만 오늘날 천주교회에서는 유교 문화의 외피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신분(성직주의), 위계(관료제), 내재적 의식(닫힌 공동체) 등의 폐쇄적 관행, 그리고 주지주의식 교육에 대한 강조로 인해 “앎과 삶의 분리 문제”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교종 프란치스코의 삶에 근거한 가르침을 한국 문화 안에서 수용하고자 할 때, “진정성 있는 내적 권위”의 리더십을 회복하고, “사목적 책무성”에 기반하여 영적, 제도적 책무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교회 기관들, 특히 본당은 사목의 최전선으로서 울타리를 넘어 지역 사회의 가난한 이들에게 열린 소통과 봉사를 수행하도록 초대받는다. 특히, 한국천주교회는 두 가지 화두를 대면하고 있다. 세속적계층과 서열, 성공에 관해서 집합적 강박의식이 강한 한국인의 의식구조를 지배하는 전통 유교 문화에서 복음의 기쁨을 찾고 실현해 낼 수 있도록 문화의 복음화가 매우 절실하다. 또한 남북분단을 치유하고 화해하며 일치와 평화의 길로 나아가고자 하는 모든 기도와 노력에 있어 한국천주교회가 기여할 수 있는 를 고민해야 한다.Since his inauguration, people around the world, have regarded Pope Francis as an authentic and spiritual leader. During his visit to Korea, the Pope made a deep impression on the Korean people as a man of God (August, 2014). Pope Francis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in his struggle to realize authentic leadership in the socio-political turmoil of Latin America. These influences have lead him to emphasize the prophetic role of a church which is a field hospital for the marginalized people of the world. In particular, Pope Francis accentuated ‘synodality’ as the principle of church governance, respecting the proper vocation of ‘the people of God’ beyond the safe boundaries of the institutionalized and hierarchical church. The spirit of synodality can be interpreted, in the light of the signs of the times, as ‘pastoral accountability,’ that is, the pastors’ spiritual responsibility and duty to experience the mercy of God and take care of, and comfort, the people of God.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started within a culture defined by neo-Confucianism. However, the early believers radically witnessed to the joy of the Gospel, that is, everyone should be equal and respected before God. However, nowadays Catholicism in Korea faces cultural problems stemming from its uncritical embrace of Confucian traditions such as status (clericalism), hierarchy (church bureaucracy), immanent consciousness (closed community), and intellectualism separated from holistic sensibilities and integrated practices. The life-oriented messages of Pope Francis invite the Church to restore its authentic and inner authority beyond external authority and to embody pastoral accountability in both the spiritual and institutional dimensions. Moreover, parishes need to open their gates to communicate and serve the marginalized at the frontiers of the local community. Finally, there are two special conundrums for the Korean Catholic Church on the path to living out the joy of the Gospel. First, is the issue of how to evangelize the Confucian culture which has dominated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Koreans and leads to an emphasis on class, status, and success? Second, what will be the Church’s role in bringing to fruition the expectations of Koreans on both sides of the Demilitarized Zone for a peaceful reconciliat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