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최근들어 IT 융복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SW의 역할과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증가하는 SW 수요와 품질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많은 SW 기업들이 SW제품에 대한 품질과 프로젝트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SW 프로세스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SW 프로세스 개선은 많은 비용과 기간이 요구되는 어려운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SW 프로세스 개선의 성과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SW 프로세스 개선과 SW 개발 프로젝트 생산성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즉, SW 공학수준에 따라 SW 개발 생산성이 차이가 나는지를 통계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검증하고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SW 공학수준에 따라 SW 개발 생산성이 다르게 나타나며, SW 공학수준이 높을수록 SW 개발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Recently, as IT convergence has seen rapid growth the role and scope of software has been extended. many software companies are trying to improve the software quality and project outcome using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pproach to cope with increasing software demands and software quality. Although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is difficult task which requires a lot of cost and time, there is still insufficient objective evidence on business benefits by its deploy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software project productivity. That is,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software development productivity depends on software engineering level using statistical methods. We found that the software development productivity is different across the software engineering levels and the higher software engineering level can lead to improved software development productivit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