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사상소설」의 전범이라는 비평적 합의와 함께, 토마스 만의 『마의 산』에 담긴 상상력의 탁월함은 흔히 저평가되었다. 본고는 특히 상찬의 대상이었던「눈」 섹션 — 알프스의 눈보라와 한스 카스토프 사이 사투를 그리는 — 의 분석을 통해, 알렉산더 네하머스가 「환원불가의 양가성」이라 요약하기도 한 이 소설의 주제적 탁월함에서 상상력이 하는 불가결한 역할을 제시한다. 죽음에 근접하는 한스의 체험은, 소설에서 반복되는 「사상적 기조」의 층위에서만 진행되지 않는다. 한스의 죽음 체험은 가스통 바슐라르가 「감각적인 것의 고고학」이라 부른 것과 함께 하며, 한스는 「원소들의 꿈/몽상」 안에서 원소들의 「단단한 삶」, 「차가운 삶」, 「느린 삶」을 산다. 그에게 죽음은 수정의 파편처럼 체험되는 눈 결정이 알고 있을 「천 년의 삶」으로 체험되고, 눈 결정-수정의 파편은 지난 수천 년과 앞으로 올 수천 년이 그 안에 압축되는 「시-공간」의 조각들이 된다. 만의 소설이 거둔 상상력의 성취는 독자가 하게 되는 「양가성」의 역동적 체험으로 이어진다.Universally labeled as a “novel of ideas,” The Magic Mountain’s achievements as a work of imagination have been underrated. With a close analysis of the novel’s most celebrated section, “Snow,” an account of Hans Castorp’s nearly fatal encounter with death in an Alpine snowstorm, this paper presents how imagination plays its indispensible role in the novel’s thematic brilliance, its “irreducible ambivalence.” Hans’s first-hand experience of death in the section is not told merely on the plane of “idea-carrying leitmotifs.” Driven by what Gaston Bachelard calls an “archeology of the perceptible,” Hans’s experience of death allows him to awaken to the “dreams of elements,” in which he himself lives the “hard life,” the “cold life,” and the “slow life” of elements. Death, in other words, is experienced as “the millennial life” of a snowflake-cum-crystal, crystal being a morsel of “space-time,” in whose “space without dimension” millennia past and millennia to come are enclosed. The reader’s experience of the “ambivalence” in its full force attests to the ‘triumph’ of Mann’s imagina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