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어떤 의미영역에 속하는 개념들의 상호관계를 탐구하여 개념지도를 그리고, 특정 언어에서 여러 요소들이 이 개념공간을 분할하는 양상을 의미지도로 그릴 수 있다. 이러한 의미지도 모형은 최근 언어유형론 연구에서 여러 의미영역에 적용되어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한국어의 여러 어휘요소(털, 섭취 행위, 나무/숲, 색채, 친족) 및 문법요소(문장유형, 질문에 대한 대답, 종속, 부치사, 증거성, 비한정대명사, 계사, 단위사)에 대해서도 의미지도 모형을 적용할 수 있고, 각 영역에서 언어 현상 및 개념공간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깊게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