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실현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을 경우 ‘자아’가 정확하게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알아내기 위하여 자아심리학의 자아이론과 「금강경」의 자아이론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자아심리학에서의 자아는 ‘충만하게 기능하는 자아’로서 우리가 보통 일상생활을 하는 중에 ‘나 자신’이라고 지각하는 자아와 다르지 않다. 이 자아는 반드시 교과교육을 통하여 실현해야 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교과교육과 우연적인 관련을 맺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여기에 비하여 「금강경」에서의 자아는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등 일체의 자아를 부정함으로써 도달하고자 하는 무아의 경지이다. 이 무아는 무분별지 상태에서의 자아라는 점, 무분별지에서의 자아는 분별지에서의 자아의 형식 또는 기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금강경」에서 말하는 무아는 교과교육을 통하여 도달해야 할 궁극적 목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아는 교과교육과 필연적인 관련을 맺는다. 다만, 이러한 관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교과교육 또한 「금강경」의 즉비시명(卽非是名)의 논리에서처럼 일체의 사물이나 현상 또는 개념이나 언어에 대하여 항상 의문이나 질문을 제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self’ of self-actualization, that is regarded as the object of education. To achieve it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s of self of ego-psychology and Diamond Sūtr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self of ego-psychology means the fully functioning person and ‘my own self’ perceived in the daily life. This self cannot be actualized by learning the subject matters. Therefore, this self is related to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by accident. But self of Diamond Sūtra is ‘Non-Self’ that acquired by negating the expressed self, i.e., an ego-entity, a personality, a being, a separated individuality. Non-Self is self in the undiscriminating knowledge and the form of self in the discriminating knowledge.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Non-Self is the ultimate object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n this case, Non-Self is related with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by logical. To make sure this relation, we need to cast doubt and question on all the language and concept of the subject matter and things and phenomena that are visible in front of you, like ‘just-not but named logic’(卽非是名的 論理) of Diamond Sūtra.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