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은 일정 문화권에서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하였다는 점과 인류 역사의중요 단계를 예증하였다는 점 등의 기준이 적용되어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하지만 한국인 강제징용 피해자들과 시민단체들은 일본이 세계유산 등재를 통해 희생자들의 기억을 조직적으로 외면했던 사실을 지적하며 등재 과정의 적합성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하시마 섬의 역사 해석과 재현을 둘러싼 갈등에 주목하여 다음의 사항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사회적 구성물로서의 유산에 대해 개념적으로 이해하고 문화유산의 역사성과 장소성 규정은 끊임없는 논의의 대상이라는 사실을 주지한다. 두 번째로, 문화유산과 공간에 축적된 기억의 다층성 논의를 통해 포용적 문화유산 해석에 대한 필요성을 논한다. 마지막으로, 하시마 섬에 내재된 기억의 선택적 재현과 배제된 역사성을 분석함으로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고려해야 할 가치 설정의 방향을 논의한다. 세계유산 등재과정에서의 특정 기억의 선택적 배제는 결국 유네스코가 세계유산제도를 통해 궁극적으로 추구하려는 가치 및 의의를 희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를 요하는 사안으로 여겨져야 할 것이다.‘Sites of Japan’s Meiji Industrial Revolution: Iron and Steel, Shipbuilding and Coal Mining’ were inscribed to the World Heritage list in 2015, justifying criteria II (interchange of human values over a span of time or within a cultural area of the world) and IV(example of significant stages in human history).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and citizens remonstrated that Japan intentionally removed the fact regarding forced labor. This paper discusses conflicts around interpretation and representation of Hashima Island. Specifically, it understands heritage as social construction, and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heritage is up for constant debate. Furthermore, it emphasizes the need for an inclusive interpretative strategy by focusing on multiple subjectivities and phases in heritage. Lastly, it discusses what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should consider by analyzing selective representation of memory and excluded historicity imbedded in Hashima Isl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isregard of specific memories in the process of the World Heritage inscription misses the fundamental values sought by UNESCO.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