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나무의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일반 성분, 이화학적특성 중 총 페놀함량과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SOD 유사활성,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이용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비타민나무는 잎, 잔가지, 굵은 가지, 뿌리의 4가지 부위를 물과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하여 실험에 사용한 결과, 일반 성분의 경우 비타민 나무의 모든 부위에서 조회분과 조단백질의 함량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물 추출물에서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 폴리페놀함량은 잎과 뿌리 부위해서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물 추출물에 비해서 에탄올 추출물의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DPPH radical 제거활성은 잔가지를 제외한 부위에서 에탄올 추출물보다 물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보였고, 특이적으로 에탄올을 용매로 한 잔가지 추출물의 <TEX>$IC_{50}$</TEX>이 23.58<TEX>${\pm}$</TEX>0.8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능은 물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높았으며, 그 중 잔가지의 에탄올 추출물이 35.03<TEX>${\pm}$</TEX>2.33%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ydroxy radical scavenging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해 2배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고, 그 중 뿌리 부위의 에탄올 추출물이 66.12<TEX>${\pm}$</TEX>8.73%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나무 추출물의 영양학적 가치와 항산화활성을 확인하였고, 그로 인한 기능성소재로써의 개발이 가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eaves, branches (bough and twig) and roots were analyzed. The level of crude ash and crude protein in water extract of leaves, branches (bough and twig), and roots were shown to be a bit higher than ethanol extracts. Especially crude protein contents from water extract of leaves, bough, twig, and roots were 14.90, 18.60, 18.03, and 16.61%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content of ethanol extracts of all parts of Sea buckthorn was ranged from 106.33<TEX>${\pm}$</TEX>2.32 <TEX>${\mu}g/g$</TEX> to 147.78<TEX>${\pm}$</TEX>3.06 <TEX>${\mu}g/g$</TEX> showing higher amount than water extracts. To investigate antioxidative activity of Sea buckthorn,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as relatively higher than water extracts. The <TEX>$IC_{50}$</TEX> values for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ranged from 23.58<TEX>${\pm}$</TEX>0.84 <TEX>${\mu}g/mL$</TEX> to 59.35<TEX>${\pm}$</TEX>1.69 <TEX>${\mu}g/mL$</TEX>. Compared to 68.85<TEX>${\pm}$</TEX>1.44% of SOD-like activity from L-ascorbic acid used as a control, the ethanol extract of Sea buckthorn branches showed relatively strong activity of 35.03<TEX>${\pm}$</TEX>2.33%. The highest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hown as 66.12<TEX>${\pm}$</TEX>8.73% from ethanol extract of Sea buckthorn roots which was similar value to 72.47<TEX>${\pm}$</TEX>2.83% of L-ascorbic aci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