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성서 중심의 복음주의적인 생태학적 세계상은 신, 인간, 자연 환경간의 신중심적이고 수직적 인 관계와 이질동상적인 상호작용을 특징으로 한다. 그 관점에서 근대의 인간중심적인(anthropocentric) 기독교 담론들은 인간의 이성과 도덕성에 대한 낙관주의적인 신뢰를 기초로 초월적인 존재에 대한 인식 의 약화와 자연환경에 대한 효용주의적 가치관의 강화의 성향을 갖는다. 그 대안으로서 20세기 후반부터 대두되어 온 생태중심적(ecocentric) 기독교 담론들은 신성에 대한 신비주의적 시각에서 인간과 자연의 근본적인 동일성과 지상에서 만물의 신성으로의 변화 가능성을 주장한다. 동시에 성서적 세계상과 1-2 세기 이후에 서구 문화, 역사 속에서 형성된 다양한 기독교 담론들, 특히 인간중심적인 근대 기독교적 시각들을 동일시하여 기존의 기독교 담론 전체를 반생태적이라고 비판한다. 인간중심적이거나 생태중심 적인 기독교 담론은 공통적으로 인간과 역사에 대한 낙관주의를 바탕으로 자연과 인간에 대한 악, 죄의 파괴력을 국소화 시키는 경향이 있다. 수직적인 성서적 세계상에서 위기 개념은 영적(초월적, 내재적), 인간적, 자연적 차원을 고려하여, 신과 인간의 수직적 관계가 인간 간의 수평적 관계와 인간과 자연의 수직적 관계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 하에 다층적이고 다면적인 위기와 기회, 위기관리 체계를 모색한다. 특별히 정교에 기반을 둔 러시아 종교 문화는 신중심적 기독교와 생태학적 기독교의 속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며 이는 신비주의, 수도원주의, 부정 신학 등의 역사적, 문화적인 영향에서 기인한다. 더불어 슬라 브 다신교, 시베리아 샤머니즘 등에도 신중심적인 기독교적 세계상과 공통되는 세계인식 구조와 정서들 이 부분적으로 존재한다. 반면 근대화 이후 러시아인들은 정교 문화의 선민적인 자의식과 서구중심적이 고 인간중심적인 근대적 민족주의가 혼합된 양가적인 민족적 정체성을 갖게 되고, 그 내적인 모순으로 인하여 외부의 위기요인들에 대한 내적인 취약성이 나타난다. 따라서 성서적 생태학의 시각에서 볼 때 러시아의 종교 문화의 생태학적 요소의 긍정적인 가치를 살려내고 신과 인간에 대한 올바른 관계적 정 체성을 토대로 서구와의 관계적 정체성을 새롭게 하는 것이 러시아 사회의 내적 위기는 물론 외적인 위 기에 대한 관리 능력과 기회 실현 역량을 높이는 길이다. 상기한 성서적 위기관리 개념에 입각하여 러시아 시베리아와 극동지역의 기후변화 및 자연환경과 에너 지 부문에서 위기와 기회를 고찰해볼 때, 이 지역은 기후변화 및 환경 부문에서 자연 식생, 기상 조건, 인구 보건, 농업, 사회 인프라 등에서 상당히 높은 불확실성을 지닌다. 반면 1-2℃의 기온 상승은 러시아 에 농토 증가, 거주 지역 확대, 개발 가능한 에너지 자원의 증대, 관광 산업 육성 등 사회경제적 기회 요 인들을 창출한다. 전반적으로 위기 요인이 장기적으로 심화되어 기회는 단기적일 수 있으며, 그나마 단 기적인 기회 요인들도 포괄적이고 일관된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실현가능하다. 그러나 서구와 러시아간 의 기후변화와 우선적인 환경 사안들을 놓고 벌이는 이념적, 제도적 갈등을 고려해 볼 때 상기한 효과적 인 위기관리의 제도적, 물리적 기반은 약한 편이다. 에너지 부문에서 특히 영구동토지대와 북극 대륙붕 지대의 유가스전 개발과 수송 프로젝트가 기후변화 와 환경 문제의 위기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지구온난화는 단기적이고 지엽적으로 에너지 수 요 감소, 재생에너지 증대, 에너지 효율성 제고 등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역시 장기간의 포괄적이고 효율적인 위기관리가 요구된다. 사회적인 면에서 시베리아의 풍부한 천연자원은 소비에트 정부의 중앙집권화된 정치경제 체제 하에서 자본주의 국가들과의 체제 경쟁의 수단으로 사용 됨으로써 난개발 되었고 그 부작용은 현재 러시아 사회에 큰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 반면 소비에트 시대 부터 활성화된 러시아인들의 환경운동과 환경에 대한 높은 사회적 인식은 향후 환경파괴적인 자원 개발 을 금지하고 친환경적인 지속가능한 개발을 실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증대시킨다. 향후 서구와 러시아 사이에서 대안적인 관계적 정체성이 수립되고 실질적인 위기관리와 기회실현 방안 들이 추진되며 러시아 동부 지역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체적인 사례 중심의 통섭적인 지역 연구가 요청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