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2012년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2012년 1년 동안 우리나 라 건강보험 가입자 중에서 836만 명이 치주질환 치료를 받았으 며, 이를 위해 지불한 건강보험요양급여비는 4,090억원으로 전체 외래진료 다빈도 질환 중에서 3번째를 차지할 정도로 만연한 질환 이다. 치주질환은 특정 미생물에 의해 발생되는 치아주위조직의 염 증성 병변으로 치주낭 형성, 치은 퇴축과 함께 치주인대와 치조골 의 파괴가 일어난다. 또한 부착상실의 결과로 치주낭이 형성되고 인접 치조골의 밀도와 높이의 변화가 일어난다. 치주질환의 원인 은 바이오필름, 치석 및 기타 국소원인들과 교합성 외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영양상태의 이상, 내분비계의 장애, 전신질환, 약물복 용, 흡연, 스트레스 등과 같은 전신적 원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처럼 치주질환은 다인성 질환으로 효과적인 질병관리와 예방을 위해서는 관련된 위험요인에 대해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최근 치주질환의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들은 치주질환과 흡연, 당뇨, 비만, 만성폐쇄성폐질환 등의 전신질환들과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고, 치주질환이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조산, 저체중아 분만, 호흡기 질환과 같은 전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이 제시되 고 있다. 또한 치주질환과 인구 · 사회경제적 수준 및 구강건강행 위 뿐만 아니라 구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된 연구들도 이뤄지고 있 으며, 한국 성인의 치주질환 유병관련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도 시행된바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일부 위험요인과 치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