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법」에 의거하여 의무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장애 인식개선 교육의 초기안정적인 제도 정착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교육생의 경험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장애 인식개선 교육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수정 IPA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교육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포함된 조사지를 활용하여 시도, 시군구에 재직 중인 공무원 295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12개의 세부 요인 중 9개 요인(75.0%)에서 교육 전 교육 참여자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수준보다 교육 후 만족하는 수준이 낮게 나타났으며, 중요도-만족도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수정 IPA에 따라 제시되는 개선 사항에는 ‘교육인원’, ‘교육 일정’, ‘교육시간’, ‘사전 교육 안내’, ‘교육생의 평가 반영’ 등의 5개 요인이 포함되었으며, 이 중 ‘교육 인원’과 ‘교육 일정’은 보다 신속하게 중점 개선되어야 할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장애 인식개선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통해 교육의 방향과 진행방법 등을 개선해야 하며, 교육을 현재보다 소규모화하고, 교육 참여자 중심의 상시 교육체계를 마련할 것을 제시하였다.It is the empirical research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education to raise social awareness of disability according to article 25 in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95 servants in local governments by e-mail, and analyzed by using revised IPA. As a result of t-test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mean of import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erformance in 9 among 12 factors. It is also revealed through the revis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at ‘education personnel’ and ‘education schedule’must be intensively and promptly improved and ‘education time’, ‘advance notice’ and ‘evaluation application’ should be gradually improv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generally the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improve the orientation and the practice of the educ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reduce the participation personnel per one class and establish a lot of courses throughout the year.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