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한국어능력을 통제한 상황에서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대상은 다문화 가정의 중학교 1학년 자녀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 청소년 패널자료 중 어머니가 외국인이고 아버지가 한국인인 국제결혼가정 중학교 1학년 자녀의 자료(1,325명)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 자료에 대해 IBM SPSS 25.0 및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일원분산분석,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부모의 지지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부모 감독의 영향력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부모의 지지 및 감독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모두 매개함으로써 부분 매개효과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 다문화 가정 중학교 1학년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부모의 양육행동 및 자아탄력성의 영향이 규명됨에 따라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수준을 높이고, 학교생활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기관이 연계한 부모교육 실시의 필요성 및 가정과 교과의 역할을 제시하였다.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direct effects of parental support and monitoring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s, under the condition of controlling foreign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ies. We used data from 1,325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urvey(MAPS)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parental support and monitoring directly and positively related with multicultural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the direct effect of parental support on the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as greater than that of parental monitoring. In addition, the adolescents’ ego-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monitoring, and their school adjustment. Finally, we recommended the roles of parent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upporting school adjustment and elevating ego-resilience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