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완벽성향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국공립, 민간 보육 기관에 다니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28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은 문열기 역할 수준이 문닫기 역할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하위요인 중 ‘전반적인 결혼만족 ’수준이 가장 높고, 어머니의 완벽성향 하위요인 중에서는 ‘높은 기준 설정’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문닫기 역할과는 부적 상관관계로, 문열기 역할과는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완벽성향은 문닫기 역할과는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문열기 역할과는 일부 하위요인에서만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완벽성향과 함께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두 변인이 어머니의 문닫기 역할에 미치는 영향은 52%, 문열기 역할에 미치는 영향은 58%로 나타났다. 특히,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하위요인 중 ‘자녀양육 갈등해결’은 문닫기 역할과 문열기 역할 모두에서 설명력이 가장 높은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가 인식하는 부부 간 ‘자녀양육 갈등 해결’정도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을 설명하는 매우 강력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어머니의 문열기 역할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부모교육의 내용과 지원방안이 마련되길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gate-keeping,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erfectionism.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ed self-report survey targeting 280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ho attend public and private childcare center in metropolitan area. The study results are s below. First, as for the maternal gatekeeping, the gate opening role showed higher level than gate closing. Among the sub fa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of mother, overall marital satisfaction level was the highest, and as for the perfectionism of mother, higher standard setting was the highest. Second, marital satisfaction of mother and gate closing role had negative correlation, while gate opening role had positive correlation. Perfectionism of mother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gate closing role, while it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artial sub factors of gate opening role. Third, marital satisfaction of mother and perfectionism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maternal gatekeeping, and the influence of two variables on gate closing role was 52% and 58% on gate opening role. Especially, among the sub fa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of mother, “child rearing conflict solving” was the factor with highest explanation power in both gate opening and closing role. This indicates the “child rearing conflict solving” between parents that mothers recognize is a very strong variable explaining the gatekeeping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actual parent education and support plan to bitalize the maternal gate opening role and to increas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