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외환위기 이후 악화되기 시작한 한국 제조업의 노동소득분배율은 2010년 이후에 소폭 개선되었는데 그 주요인은 실질임금 상승이 아닌 노동생산성 둔화이다. 노동생산성이 임금을 결정한다는 주류 경제학의 가정과는 달리 포스트케인스주의 생산성체제 분석은 임금 상승이 노동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임금과 생산성의 관계에서 양방향의 상호관계가 있음을 전제하고 고용(총노동시간)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노동생산성 증가율과 임금 증가율의 상호 작용에 대해 분석한다. 노동생산성, 고용(총노동시간), 임금 사이의 관계를 패널벡터자기회귀 모형으로 실증한 결과 임금상승이 노동생산성 증가를 통해 다시 임금 상승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고리가 2010년 이후 한국 제조업에서 다소 약화되었고, 임금 상승이 노동생산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그 반대의 경우보다 클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임금 상승이 노동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는 존재하지만 고용(총노동시간)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그 효과는 반감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혁신의 유인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일자리 대체를 최소화하는 정부의 조정 능력이 요구된다. 시스템 일반화 적률법을 사용하여 한국 제조업 노동생산성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역시 시간당 임금은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에 정(+)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Income inequality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began worsening since the East Asian economic crisis in 1997. Although it has been slightly improved after 2010, this improvement is not due to the enhanced real wages, but due mainly to the slowdown of the labor productivity. Mainstream and post-Keynesian economics show two conflicting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ges and labor productivity: the latter determines the former according to the mainstream economics, and vice versa according to the post-Keynesian economics. In this study, assuming the existence of two-way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variables,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hange of the labor productivity, the change of the real wages, and the change of the employment using a 3-variables panel vector autoregression method. Among the results of an empirical analysis, it is noteworthy that the positive impact of wage growth on labor productivity growth is much greater and significant than that of the reverse, which can imply the possibility of a restored virtuous circle between wages and productivity through that channel. However, it is also noteworthy that employment responds negatively to changes in wages and productivity, which can be ascribed to the rapid application of automa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government should implement a policy supporting the creation of decent jobs in new industries to minimize the negative externalities of workforce redundancy. We adopt a System GMM method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the Korean manufacturing labor productivity. The result also show that the hourly wage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labor productivit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