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고는 내몽고 중남부에서 연해주 남부 및 두만강 하류에 이르는 동아시아 북방지역의 집단들 사이에 존재하는 광역 정보네트워크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신석기시대 후반(기원전 4천년기 후반~3천년기 후반) 단계에 보이는 토기상에서의 광역적 공통성을 돌대일주 구연과 이중구연토기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대상 고고문화 혹은 토기 양식은 海生不浪, 紅山, 小河沿, 哈民忙哈 文化 및 南寶力皐吐 유형, 偏堡文化 및 신암리 양식, 石灰場下層 및 자이사노프카 문화, 서포항 상층 양식 등이다. 검토 결과 토기에서 보이는 광역적 공통성과 차이점은 대상 지역 간 네트워크의 밀도, 거리 차이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일상적 접촉지대 및 단속적 접촉지대라는 개념을 통해 지역 간 네트워크 구조 차이를 대별하였으며, 정보 유통의 매개가 되는 허브 지역이 존재함을 분명히 하였다.This paper examined the structures of inter-regional information network between prehistoric groups focusing on northern part of east Asia. For this purpose, pottery data of the 2nd half of Neolithic period, especially raised line attatched pottery(돌대일주구연 토기) and double lip pottery(이중구연토기), surveyed. Examined archaeological cultures or pottery styles are Haishengbulang(海生不浪), Hungshan(紅山), Xiaoheyan(小河沿), Haminmanghe(哈民忙哈), Nanbaoligaotu(南寶力皐吐), Pianbu(偏堡), Shinamri(신암리), Shihuichang lower layer(石灰場下層), Zaisanovka and Seopohang upper layer(서포항 상층). Analysis reveals th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material cultures derived from the degree of network density, distance etc. Examined areas can be categorized as ordinary contact area and intermittence contact area in terms of differences of network structures. And, it is obvious that existence of hub area of groups are crucial for information flow.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